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React
- c#코딩의기술실전편
- 명시적외래키
- vscode
- EFCore
- 스냅잘찍음
- extraParams
- dbContext
- LINQ
- ORM
- Request
- a604mu
- JSON
- mac
- .net
- Store
- minimalAPI
- intellij
- extjs
- Config
- error
- ViewModel
- wifi안됨
- 코드프로그래머스
- c#
- scanner
- 상속
- lazy loading
- JavaScript
- cpu불안들어옴
- Today
- Total
목록DB/Oracle (17)
ejyoo's 개발 노트

아래와 같은 형태로 만들것임. 테이블을 클릭한 후 ERD 화면 클릭 생성된 테이블을 더블클릭 논리명과 물리명 입력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필드를 생성 생성할 때 UNIQUE는 체크 해제할것 -> 나중에 SQL 추출 시 문제가 됏엇음. 관계 차수 설정 시 외래키가 자동으로 등록되며 생성한 필드와 외래키가 중복되는 것이 잇으면 생성한 필드를 지우고 외래키를 사용할것 (원래는 관게차수 설정할 때, 웬만하면 그냥 들어오는데 현재 설계할 때 물리명이 달라서 외래키가 추가로 하나가 생성된것임.) 설계도중 복합키가 잇으면 아래와 같이 기본키를 2개로 설정 설계할 대 외래키 고려를 하고 현 필드내에서 부모키에서 전이된 필드와 중복되는게 잇어서 제거함. 설계 시 아래와같이 자료형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 형식을 이렇게..
🤜🏻글 작성 배경오라클 함수 중 lpad, rpad 사용 시 바이트가 한글 2바이트로 나와야되는데 계산이 3바이트로 됨.🤜🏻수행전에 확인수행환경 : MAC OSsqlplus - sys(administrator)로 로그인docker exec -it oracle11gXE sqlplususer-name : system / password : java 로 로그인conn sys/oracle@localhost as sysdba🤜🏻해결 : 오라클 3바이트를 2바이트로 변경1. 한글 바이트 사이즈 확인select vsize('가나다') as bytes1, lengthb('가나다') as butes2 from dual; 2. 데이터베이스 캐릭터 셋 확인select * from nls_database_parameters ..
EXPLAIN PLAN SET STATEMENT_ID = '임의지정1' FOR SELECT EMP_ID, EMP_NAME FROM TEMP WHERE EMP_ID > 0; SELECT LPAD(OPERATION, LENGTH(OPERATION) + 2 * (LEVEL-1))|| DECODE(ID,0,'COST ESTIMATE:'||DECODE(POSITION,'0', 'N/A',POSITION),NULL)||''||OPTIONS|| DECODE(OBJECT_NAME,NULL,NULL,':')|| RPAD(OBJECT_OWNER,LENGTH(OBJECT_NAME)+1,',')||OBJECT_NAME|| DECODE(OBJECT_TYPE,'UNIQUE',' (U) ', 'NIN_UNIQUE', ' (NU) ..
EXPLAIN PLAN SET STATEMENT_ID = '임의지정1' FOR SELECT EMP_ID, EMP_NAME FROM TEMP WHERE EMP_ID > 0; SELECT LPAD(OPERATION, LENGTH(OPERATION) + 2 * (LEVEL-1))|| DECODE(ID,0,'COST ESTIMATE:'||DECODE(POSITION,'0', 'N/A',POSITION),NULL)||''||OPTIONS|| DECODE(OBJECT_NAME,NULL,NULL,':')|| RPAD(OBJECT_OWNER,LENGTH(OBJECT_NAME)+1,',')||OBJECT_NAME|| DECODE(OBJECT_TYPE,'UNIQUE',' (U) ', 'NIN_UNIQUE', ' (NU) ..
-- 오라클에서 사용하는 조인명칭 -- 카티션 프로덕트 : 모든 행과 열을 조합 -- 내부조인 : 기본키/외래키를 연결고리로 하여 조인 -- 외부조인 :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출력 다른 한쪽은 NULL 로 표시됨. -- 셀프조인 : 하나의 테이블을 복제하여 여러테이블 처럼 조인해서 사용함. -- 조인 표준 [ANSI - 미국 표준 협회] -- CROSS JOIN(ORACLE - 카티션프로덕트) : 모든 행과 열을 조합 -- INNER JOIN(ORACLE - 내부조인) : 기본키/외래키를 연결고리로 하여 조인 -- OUTER JOIN(ORACLE - 외부조인) :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출력 다른 한쪽은 NULL 로 표시됨. -- 셀프조인(ORACLE - 명칭동일) : 하나의 테이블을 복제하여 여러..
-- 오라클에서 사용하는 조인명칭 -- 카티션 프로덕트 : 모든 행과 열을 조합 -- 내부조인 : 기본키/외래키를 연결고리로 하여 조인 -- 외부조인 :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출력 다른 한쪽은 NULL 로 표시됨. -- 셀프조인 : 하나의 테이블을 복제하여 여러테이블 처럼 조인해서 사용함. -- 조인 표준 [ANSI - 미국 표준 협회] -- CROSS JOIN(ORACLE - 카티션프로덕트) : 모든 행과 열을 조합 -- INNER JOIN(ORACLE - 내부조인) : 기본키/외래키를 연결고리로 하여 조인 -- OUTER JOIN(ORACLE - 외부조인) : 한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출력 다른 한쪽은 NULL 로 표시됨. -- 셀프조인(ORACLE - 명칭동일) : 하나의 테이블을 복제하여 여러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