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상속
- EFCore
- scanner
- extjs
- c#코딩의기술실전편
- mac
- a604mu
- 코드프로그래머스
- ViewModel
- minimalAPI
- error
- 명시적외래키
- vscode
- JSON
- extraParams
- c#
- JavaScript
- React
- Store
- 스냅잘찍음
- lazy loading
- cpu불안들어옴
- intellij
- LINQ
- ORM
- wifi안됨
- Request
- .net
- dbContext
- Config
- Today
- Total
목록FrontEnd/Javascript (13)
ejyoo's 개발 노트
홈페이지 만들 때, 페이지 이동 관련 코드를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있다. 그 중 document.referrer 과 history.back 과 history.go가 있는데 이 세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다. document.referrer 과 history.back 과 history.go(index) 의 공통점 이 세개 코드의 공통점은 페이지 이동이다. document와 history는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내장객체이다. document.referrer document 오브젝트의 한 속성으로 document.refferer는 단순하게 이전페이지의 url 값이다. history.back / history.go(index) history 오브젝트에 들어있는 값들 중 저장된 주소로 옮기는 메서드이다. hi..
/** * */ function register(url){ var fm = document.getElementById("fm"); fm.method = "post" fm.action = url; fm.submit(); } function movePageByGet(url){ location.href = url; } var idFlag = false; var runIdCheckFlag = false; var mailFlag = false; var runMailCheckFlag = false; $(document).ready(function(){ $("#userId").keydown(function(){ // 아이디 입력 시 check 초기화 console.log("키보드 입력 이벤트 발생"); $("#spU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