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avaScript
- 코드프로그래머스
- cpu불안들어옴
- a604mu
- extraParams
- EFCore
- minimalAPI
- scanner
- vscode
- dbContext
- 명시적외래키
- .net
- c#
- 상속
- Request
- c#코딩의기술실전편
- ORM
- React
- lazy loading
- ViewModel
- Store
- JSON
- 스냅잘찍음
- Config
- wifi안됨
- error
- mac
- LINQ
- extjs
- intellij
- Today
- Total
목록BackEnd (121)
ejyoo's 개발 노트
EF 의 ORM 을 사용하면서 모델을 설계할 때 FluntAPI 를 사용하여 각 엔티티 모델 간 외래키를 지정하는데, 이때 외래키로서의 식별관계를 가지는 각 모델이 참조할 수 있도록 명시적 외래키 라는 필드를 작성해야 한다. 이때 타입이 virtual로 들어가는데, 그것이 왜 사용되는지 궁금해서 정리하고자 한다. EF 는 Entitiy Framework 의 약자로 MS에서 개발한 .NET 앱용 오픈소스 객체 관계 매핑 프레임 워크(ORM)이다. EF 에서 외래키 연관관계를 설정할 때 종종 virtual 키워드를 사용한다. virtual 키워드를 사용하면 EF가 해당 속성을 Lazy Loading을 할 수 있다. Lazy Loading은 관련 개체가 실제로 필요로 될 때 까지 해당 개체의 로드를 연기하는 ..

.NetCore 의 Minimal API 만들기 MS 사이트에서 Tutorial로 있는 예제를 참고하여 간단한 프로젝트를 실습한다. 실습 내용 (환경 : .NET 7.0 / .NET SDK) minimap API 생성과 API 호출 (API 호출 도구) EF DBSet 생성 모델 생성과 마이그레이션 코드 생성 도커로 디비 올리고 API 호출하여 디비에 데이터 등록하기 https://learn.microsoft.com/en-us/aspnet/core/tutorials/min-web-api?view=aspnetcore-6.0&tabs=visual-studio-code Tutorial: Create a minimal API with ASP.NET Core Learn how to build a minimal A..
IDE 개발환경인 이클립스 내에서 Tomcat을 실행시키지 않고 (자동으로 이클립스 콘솔에 System.out.println 이 보임) 터미널로 Tomcat을 구동하던 도중 JSP 상에서 System.out.println() 을 사용했을 때 확인하고자 할때 Tomcat 내에 있는 Catalina.out을 실행한다. 터미널을 logs에서 열어서 catalina.out을 실행해도 되고 그냥 처음부터 절대경로를 지정하여 catalina.out을 실행할 수 있다. tail -f /usr/local/tomcat/logs/catalina.out
발생오류 : java.lang.ClassCastException: java.io.ObjectStreamClass cannot be cast to java.lang.String 원인 - 직원 목록 조회 시 컨트롤러에서 받는 파라미터에서 SearchCriteria 클래스와 ModelAndView를 받아오도록 설정되어있음. 해결 (근본 해결되진 않음) - modelAndView 를 지운 뒤 다시 추가하였음. (톰캣내에서 꼬인듯)
비동기 업로드를 하기 위해 ajax와 FormData를 이용하는 방법이다. FormData 는 IE10버전부터 지원한다. FormData 사용 시 주의점 contentType, processData 옵션을 false로 설정해야 함. - 왜 false로 주는것인가? ajax로 브라우저에 보낼 때 contentType, processData 설정이 없으면 모두 디폴트로 보냄(true) -> 브라우저 디폴트는 form형식으로 보내는 것임. -> 파일 전송할 때 encType: multipart로 보내야 하므로 꼭 contentType, processData를 false로 해야함. FormData 사용방법 두가지 1) Form에 작성된 전체 데이터 보내기 2) Form에 작성된 것 중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보내..
Error Page 를 설정할 때 3가지 방법이 있다. 1) jsp 디렉티브에 에러페이지 설정 2) Handler(Servlet) 에 설정 3) web.xml에 설정 - Excetion - Error 응답코드 부여 이 방법중 '3) web.xml' 에 설정하는 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그 중 Error 응답코드 부여하는것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. 아래 예제는 숫자를 0으로 나누는 예외인 exception_arithmetic 기준으로 작성되었다. 1. jsp 디렉티브에 에러페이지 적용(속성 : errorpage, isErrorPage) 1) error를 발생시킬 'error_page.jsp' 를 생성한 후 디렉티브 영역에 'errorPage="/에러페이지"를 작성한다. 2) 에러 페이지인 'isErrorP..
서블릿은 브라우저에서 최초 요청 시 init() 메서드를 실행한 후 메모리에 로드되어 기능을 수행한다. 따라서 최초 요청이 있어야하며, 때에따라 실행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.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긴 기능이 load-on-startup 기능이다. load-on-startup의 특징 - 톰캣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미리 서블릿을 실행 - 지정한 숫자가 0 보다 크면 톰캣 컨테이너가 실행되면서 서블릿이 초기화된다. - 지정한 숫자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며, 작은 숫자부터 먼저 초기화된다. load-on-startup 기능 구현 방법 - 애너테이션 설정 - web.xml 설정 애너테이션 이용한 방법 @WebServlet(name="frontServletApp", urlPatterns={"/Fro..